커트 브라우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트 브라우닝은 캐나다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안무가이다. 그는 4번의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3번의 올림픽 출전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198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최초로 쿼드러플 점프(토루프)를 성공시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브라우닝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캐나다 국기를 들고 입장하는 영예를 얻었으며, 이후 안무가로 활동하며 여러 유명 스케이터들의 프로그램 안무를 맡았다. 2007년에는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는 폴란드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점프 조합을 세계 최초로 성공시키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 세 번 출전한 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9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페트르 바르나
체코슬로바키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페트르 바르나는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시키며 동메달을 획득하고, 같은 해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프로 스케이터 및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199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1994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엘비스 스토이코
엘비스 스토이코는 1990년대 세계 피겨 스케이팅계를 주름잡은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과 올림픽 은메달 2회 획득, 쿼드러플 점프와 가라테를 접목한 강렬한 연기로 유명하다.
커트 브라우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커트 브라우닝 |
로마자 표기 | Kurt Browning |
출생일 | 1966년 6월 18일 |
출생지 | 앨버타주 로키 마운틴 하우스, 캐나다 |
거주지 | 앨버타주 캐롤라인, 캐나다 |
키 | 170cm |
은퇴 | 1994년 |
결혼 | |
선수 경력 | |
종목 | 남자 피겨 스케이팅 |
활동 기간 | 1982년–1994년 (경쟁), 1994년–현재 (프로) |
코치 | 카렌 맥린 마이클 지라넥 루이스 스통 |
안무가 | 샌드라 베지크 케빈 코텀 브라이언 파워스 클레런스 포드 |
소속 클럽 | 로키 마운틴 하우스 로열 글레노라 클럽 그래나이트 클럽 |
주요 업적 | 역사상 최초 프리 스케이팅에서 4회전 점프 성공 |
수상 | |
훈장 | 캐나다 훈장 (1990년) |
상 | 루 마쉬 상 (1990년) |
특별 공로상 | ISU 스케이팅 어워드 (2020년) |
대회 성적 | |
국제 스케이트 연맹 주최 대회 |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금 4, 은 1, 동 0 |
국내 대회 | |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금 4, 은 3, 동 0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1993년 프라하 | 남자 싱글 금메달 |
1992년 오클랜드 | 남자 싱글 은메달 |
1991년 뮌헨 | 남자 싱글 금메달 |
1990년 핼리팩스 | 남자 싱글 금메달 |
1989년 파리 | 남자 싱글 금메달 |
2. 선수 경력
커트 브라우닝은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4번 우승한 캐나다의 대표적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그는 동계 올림픽에 세 차례 캐나다 대표로 출전했으며, 1994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캐나다 선수단의 기수를 맡기도 했다.[1]
1988년 3월 2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88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우닝은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최초로 공인된 쿼드러플 점프(토루프)를 성공시켰다. 이 업적은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그는 점프 기술뿐만 아니라 정교하고 빠른 풋워크와 뛰어난 표현력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1]
아마추어 선수 생활 이후 프로로 전향하여 캐나다 프로 선수권 대회와 세계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도 각각 3차례 우승했다. 프로 전향 후에는 스타즈 온 아이스 투어의 주요 멤버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1] 캐나다 방송 협회(CBC)의 피겨 스케이팅 컬러 해설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여러 유명 선수들의 프로그램 안무를 담당하는 등 안무가로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 2007년에는 세계 피겨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초기 경력
브라우닝은 1983년 캐나다 노비스 선수권 대회, 1985년 캐나다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유망주로 떠올랐다. 그는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총 4차례 우승(1989년-1991년, 1993년)과 3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 1987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15위를 기록했다.동계 올림픽에는 세 차례 캐나다 대표로 출전하여 1988년 캘거리에서 8위, 1992년 알베르빌에서 6위, 1994년 릴레함메르에서 5위를 차지했다. 특히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캐나다 선수단의 기수로 나서는 영예를 안았다.[1]
1988년 3월 2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88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프리스케이팅에서 역사상 최초로 공인된 쿼드러플 토루프 점프를 성공시켰다. 이 대회 최종 순위는 6위였지만, 이 점프 성공은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이전에 1986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요제프 사보브치크(Jozef Sabovčík)가 쿼드러플 토루프를 시도했으나 랜딩 문제로 공인받지 못했다.) 브라우닝은 훗날 "내가 성공하기 훨씬 전부터 몇몇 선수들이 연습 때 그 점프를 뛰는 것을 보았고, 그들에게서 영감을 얻어 시도했다. 성공 후 더 많은 선수들이 대회에서 시도할 줄 알았는데, 몇 년간 그렇지 않아 놀랐다"고 회고했다.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총 4번 우승했다. 1989년 파리 대회에서 양발 착지에 가까웠지만 쿼드러플 점프를 다시 선보이며 첫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1990년과 1991년 대회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3연패를 달성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0년에는 캐나다 훈장을 받았다. 1992년 대회에서는 심각한 허리 부상으로 인해 2위에 머물렀으나,[1] 1993년 프라하 대회에서 다시 정상에 오르며 개인 통산 네 번째 세계 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했다.[1]
브라우닝은 점프 기술 외에도 정교하고 빠르며 종종 경쾌한 풋워크로 유명했다. 또한, 뛰어난 표현력과 해석 능력을 바탕으로 인상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였다.[1] 예를 들어, 1993년에는 레드 제플린(Led Zeppelin)의 "Bonzo's Montreux"와 같이 타악기가 강한 팝 음악을 사용했으며, 주먹을 쥐고 얼음판을 가로지르는 등 음악을 역동적으로 해석했다. 다음 시즌에는 검은색 티셔츠와 스트레치 팬츠 차림으로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를 연기하며 유머러스한 표현을 가미하기도 했다.[2][3] 피겨스케이팅 역사가 제임스 R. 하인즈는 브라우닝이 "뛰어난 해석적 프로그램으로 기억된다"고 평가했다.[1] 특히 산드라 베직(Sandra Bezic)이 안무한 1993년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은 영화 ''카사블랑카''의 음악에 맞춰 험프리 보가트(Humphrey Bogart)가 연기한 릭 블레인 역을 맡아 흰색 디너 재킷을 입고 연기했으며, 그의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꼽힌다.[1] 브라우닝의 또 다른 상징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영화 ''싱잉 인 더 레인''의 진 켈리(Gene Kelly) 춤을 모방한 "'싱잉 인 더 레인"'이 있다. 이 프로그램 역시 산드라 베직이 안무했으며, 1994년 CBC-TV 특집 프로그램에서 처음 선보였다.
2. 2. 4회전 점프 성공과 세계 선수권 3연패
1988년 3월 2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88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우닝은 최초로 인정받은 4회전 점프(토루프)를 성공시켰다. 이 대회에서 그는 최종 6위를 기록했지만, 이 역사적인 점프 성공은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이전 1986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요제프 사보브치크(Jozef Sabovčík)가 쿼드러플 토루프를 성공시킨 바 있으나, 3주 후에 공식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브라우닝은 훗날 이 점프에 대해 "제가 성공하기 훨씬 전부터 몇몇 선수들이 연습에서 뛰는 것을 보았고, 그들에게서 영감을 얻어 시도했다. 성공 후 더 많은 선수들이 도전할 거라 예상했지만, 몇 년간 그렇지 않아 놀랐다"고 회고했다.1989년 파리에서 열린 1989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4회전 점프를 다시 시도하여 양발 착지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고, 마침내 첫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이어 1990년과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연달아 우승하며 세계 선수권 3연패라는 위업을 달성했다.[1] 그러나 1992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심각한 허리 부상으로 인해 2위에 머물렀다.[1] 그는 199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다시 정상에 오르며 개인 통산 네 번째 세계 선수권 금메달을 획득했다.[1]
2. 3. 올림픽 도전과 세계 선수권 우승
캐나다를 대표하여 세 차례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4번 우승했다.브라우닝은 1983년 캐나다 노비스 선수권 대회와 1985년 캐나다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시니어 무대에서는 네 번의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우승(1989년, 1990년, 1991년, 1993년)과 세 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세계 무대에서는 1989년, 1990년, 1991년, 199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총 네 차례 정상에 올랐다.[1] 1992년에는 심각한 허리 부상으로 인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는데, 이 부상은 그의 올림픽 메달 획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
동계 올림픽에는 세 번 출전했다.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서는 8위,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는 6위,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1] 특히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1994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캐나다 선수단의 기수로 나서는 영예를 안았다.
대회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
동계 올림픽 | 8위 | 6위 | 5위 | ||||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6위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
캐나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2위 |
1988년 3월 2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88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우닝은 역사상 최초로 공인된 쿼드러플 점프(토루프)를 성공시켰다. 이 성과는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 이전에 요제프 사보브치크가 1986년 유럽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쿼드러플 토루프를 성공시킨 적이 있으나, 착빙 문제로 3주 후 공인이 취소되었다. 브라우닝은 훗날 "내가 성공하기 훨씬 전부터 몇몇 선수들이 연습 때 그 점프를 뛰는 것을 보았고, 그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시도했다. 성공 후에는 더 많은 선수들이 대회에서 시도할 줄 알았는데, 몇 년간 그렇지 않아 놀랐다"고 회고했다.
브라우닝은 점프 기술뿐만 아니라 정교하고 빠르며 종종 경쾌한 풋워크로도 유명했다. 그는 프로그램에 타악기가 강조된 팝 음악을 사용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했다. 예를 들어 1993년에는 레드 제플린의 "Bonzo's Montreux"를 사용하며 주먹을 쥐고 얼음판을 가로지르는 등 역동적인 안무를 선보였다. 다음 시즌에는 검은색 티셔츠와 스트레치 팬츠 차림으로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에 맞춰 스케이팅하며 유머러스한 표현을 가미하기도 했다.[2] 예를 들어 이두박근을 과시하는 포즈를 취하거나, 상체 움직임으로 웃음을 흉내 내고, 관중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등의 동작을 포함했다.[3]
피겨스케이팅 역사가 제임스 R. 하인즈는 "브라우닝은 뛰어난 해석적 프로그램으로 기억된다"고 평가했다.[1] 특히 산드라 베직이 안무하고 영화 카사블랑카의 음악에 맞춰 연기한 1993년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1] 이 프로그램에서 그는 험프리 보가트가 연기한 주인공 릭 블레인처럼 흰색 디너 재킷을 입고 연기했다.[1] 또 다른 상징적인 프로그램은 "싱잉 인 더 레인"인데, 그는 영화 싱잉 인 더 레인에서 진 켈리가 보여준 춤을 얼음 위에서 재현했다. 이 프로그램 역시 산드라 베직이 안무했으며, 1994년 CBC-TV 특집 방송에서 처음 선보인 후 20년 넘게 아이스 쇼에서 꾸준히 공연 요청을 받을 정도로 큰 사랑을 받았다.
2. 4. 주요 대회 성적
커트 브라우닝은 캐나다 선수권 대회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4번 우승했으며, 동계 올림픽에는 캐나다 대표로 세 차례 출전했다.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8위, 199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6위,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그는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1994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캐나다 국기를 들고 입장하는 영예를 안았다.브라우닝은 1983년 캐나다 노비스 선수권 대회와 1985년 캐나다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시니어 무대에서는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총 4회(1989, 1990, 1991, 1993년) 우승했고, 3회(1987, 1988, 1994년) 준우승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89년, 1990년, 1991년, 1993년에 네 차례 정상에 올랐다.[1] 199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심각한 허리 부상에도 불구하고 2위를 차지했는데, 이 부상은 특히 올림픽 메달 획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
1988년 3월 2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8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브라우닝은 남자 싱글 선수 최초로 쿼드러플 토루프 점프를 성공시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이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공인한 최초의 쿼드러플 점프 기록이다. (요제프 사보브치크(Jozef Sabovčík)가 1986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먼저 성공했으나 3주 후 랜딩 문제로 공인이 취소되었다.) 브라우닝은 이후 인터뷰에서 자신이 성공하기 전에도 연습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뛰는 선수들이 있었고, 그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또한 자신이 성공한 후 다른 선수들도 대회에서 시도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몇 년간 그렇지 않아 놀랐다고 언급했다.
아마추어 무대 은퇴 후 프로로 전향하여 캐나다 프로 선수권 대회와 세계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3회 우승했다.
아래는 주요 대회 성적을 요약한 표이다.
대회/년도 | 1985-86 | 1986-87 | 1987-88 | 1988-89 | 1989-90 | 1990-91 | 1991-92 | 1992-93 | 1993-94 |
---|---|---|---|---|---|---|---|---|---|
올림픽 | 8위 | 6위 | 5위 | ||||||
세계 선수권 | 15위 | 6위 | 1위 | 1위 | 1위 | 2위 | 1위 | ||
캐나다 선수권 | 5위 | 2위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2위 | |
스케이트 아메리카 | 8위 | 3위 | |||||||
스케이트 캐나다 | 4위 | 1위 | 1위 | 1위 | |||||
파리 국제 대회(트로페 프랑스) | 1위 | ||||||||
NHK 트로피 | 7위 | 3위 | 3위 | ||||||
네이션스컵 | 1위 | ||||||||
네벨혼 트로피 | 3위 | ||||||||
생제르베 | 2위 | 2위 | |||||||
세인트 아이벌 인터내셔널 | 2위 | 1위 |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이후 프로로 전향한 커트 브라우닝은 캐나다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세계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아이스 쇼 스타즈 온 아이스의 주요 멤버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텔레비전 영화에도 출연했다.[1] 1996년 캐나다 에드먼턴에서 열린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그의 오랜 공적을 기념하여 특별히 초청되어 갈라쇼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3. 프로 전향 이후
또한 1994년 프로 전향 직후부터 피겨 스케이팅 해설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2006년부터는 CBC의 주요 피겨 스케이팅 대회 정규 컬러 해설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안무가로서도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3. 1. 프로 스케이터 및 해설가 활동
1994년 프로로 전향한 이후, 브라우닝은 캐나다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세계 프로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우승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산드라 베직이 안무하고 1994년 CBC-TV 특집 프로그램에서 처음 선보인 그의 상징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인 "'싱잉 인 더 레인'"을 아이스 쇼에서 오랫동안 공연해왔다. 또한 텔레비전 영화에 출연하고 스타즈 온 아이스 투어에 참여했다.[1]
해설가로서 브라우닝은 1994년 프로 전향 이후 꾸준히 활동해왔다. 특히 2006년부터는 CBC에서 주요 피겨 스케이팅 대회의 정규 컬러 해설자로 활동하고 있다.
방송 활동으로는 2006년 폭스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스케이팅 위드 셀레브리티즈''에 출연했으며, 2009년부터는 배틀 오브 더 블레이즈의 공동 진행자를 맡고 있다.
안무가로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여러 유명 피겨 스케이터들의 프로그램을 안무했다. 그가 안무를 맡았던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 | 출처 |
---|---|
제레미 애벗 | |
케빈 알베스 | |
패트릭 챈 | |
본 칩퍼 | |
마크-앙드레 크레이그 | |
알리사 치즈니 |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
하뉴 유즈루 | |
혼다 다케시 | |
브라이언 주베르 | |
투바 카라데미르 | |
카롤리나 코스트너 | |
고즈카 다카히코 | |
타라 리핀스키 | |
에반 라이사첵 | |
브랜든 미로즈 | |
루친다 루 | |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 |
사토 유카 | |
토마스 베르너 | |
얀 한 |
또한 그는 2011-12 시즌 스타즈 온 아이스 투어의 공동 감독 및 안무를 맡기도 했다.
3. 2. 안무가 활동
커트 브라우닝은 프로 스케이터 활동과 병행하여 안무가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다수의 유명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프로그램 안무를 담당했다.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선수 이름 | 원어 이름 |
---|---|
제레미 애벗 | Jeremy Abbott |
케빈 알베스 | Kevin Alves |
패트릭 챈 | Patrick Chan |
본 칩퍼 | Vaughn Chipeur |
마크-앙드레 크레이그 | Marc-André Craig |
알리사 치즈니 | Alissa Czisny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Javier Fernández |
유즈루 하뉴 | Yuzuru Hanyu |
타케시 혼다 | Takeshi Honda |
브라이언 주베르 | Brian Joubert |
투바 카라데미르 | Tuğba Karademir |
카롤리나 코스트너 | Carolina Kostner |
타카히코 고즈카 | Takahiko Kozuka |
타라 리핀스키 | Tara Lipinski |
에반 라이사섹 | Evan Lysacek |
브랜든 미로즈 | Brandon Mroz |
루친다 루 | Lucinda Ruh |
제이미 살레 / 데이비드 펠레티에 | Jamie Salé / David Pelletier |
유카 사토 | Yuka Sato |
토마스 베르너 | Tomáš Verner |
얀 한 | Yan Han |
특히 혼다 다케시(Takeshi Honda)의 2002-2003 시즌 쇼트 프로그램 '탱고' 안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2011-2012 시즌 스타즈 온 아이스(Stars on Ice) 투어의 공동 감독 및 안무를 맡았다.
4. 개인 생활
브라우닝은 1966년 6월 18일, 앨버타주 로키 마운틴 하우스에서 태어났고, 캐롤라인에서 자랐다.
그는 1996년 6월 30일, 캐나다 국립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인 소니아 로드리게스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2003년 7월 12일에 태어난 첫째 아들 가브리엘과 2007년 8월 14일에 태어난 둘째 아들 딜런이 있다. 현재는 이혼한 상태이다.[6]
2010년 8월 18일, 브라우닝이 거주하던 토론토의 포레스트 힐 지역 자택에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는 2022년 8월 11일 알리사 치즈니와 재혼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Figure Skating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011
[2]
서적
Culture on Ice: Figure Skating and Cultural Meaning
Wesleyan Publishing Press
[3]
서적
Culture on Ice: Figure Skating and Cultural Meaning
[4]
웹사이트
Mr. Kurt Browning
https://www.gg.ca/en[...]
2023-11-09
[5]
웹사이트
World Figure Skating Hall of Fame
https://www.usfigure[...]
2024-11-02
[6]
웹사이트
In Conversation with Ann Rohmer – Episode 56: Kurt Browning
https://share.transi[...]
2021-10-30
[7]
웹사이트
2021年は(COVID-19)の影響で生涯功労賞のみ授与
https://isu.org/figu[...]
ISU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